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일본 치사율30% 전염병 확산 중, 일본 전염병 증상 및 예방법

by 소소한정보전달자 2024. 3. 20.
728x90

최근 일본에 치사율 30%에 달하는 '독성 쇼크 증후군(STSS)' 감염병이 확산 중이다. 특히 이 병은 증상이 거의 없어서 예방이 중요한 질병으로 주목받고 있다.

1. '독성 쇼크 증후근(STSS)' 이란"

화농성 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독성 쇼크 증후군(STSS)은 고열, 인후통, 눈 충혈, 설사, 근육통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질병입니다.

비말, 신체 접촉, 상처 등을 통해 전파되며 치사율은 최대 30%에 달합니다.

특히 독성 쇼크 증후근(STSS)은 주로 어린이에게 인후통을 유발하지만 성인에게는 감염 초기 별다른 증상이 없어 무증상 상태로 일상생활을 하게 됩니다.

성인이 고열, 인후통, 눈 충혈, 설사, 근육통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이미 바이러스가 온몸 전체게 깊숙하게 퍼진 상태여서 이 심각한 합병증이나 심하면 사망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일본 반응

올해 1월부터 2월까지 일본에서는 45개 현에서 378건의 STSS 확인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국립 전염병 연구소(NIID)는 심각한 형태의 화농성 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박테리아가 어디서 시작되었는지 원인이 무엇인지 아직 밝혀진 점이 없음을 강조하면서 상황의 긴급성을 강조하였습니다. 다만 독성 쇼크 증후군(STSS)이 확산된 시기가 코로나 격리 해제 시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또 다른 코로나가 유행하는 것이 아니냐며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3. 독성 쇼크 증후근(STSS) 예방법

앞서 일본의 국립 전염병 연구소의 발표에 따르면 독성 쇼크 증후근(STSS) 이 확산된 시점이 코로나 격리 해제 이후이므로 코로나 팬데믹 시기처럼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및 개인위생 및 건강관리에 힘쓰는 것으로 예방해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4. 일본 여행은?

한국 관광객은 일본을 방문하는 관광객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통계에 따르면 한국 관광객이 관광객 입국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월 한 달에만 8억 1,850만 명의 한국 방문객이 기록되고 있습니다. 아직 까지 우리 정부에서는 별다른 반응이나 지침이 내려오지 않았기에 일본 여행하는 하는 여행자가 독성 쇼크 증후군(STSS)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 파악과 사전 준비 및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 일본 여행 후 위와 관련된 증상이 나타날 경우 빠른 진료를 통해 감염을 예방하는 대처가 요구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