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2024 한강역사탐방 프로그램 정보 및 한강역사탐방 프로그램 예약하기

by 소소한정보전달자 2024. 4. 14.
728x90

한강 경관 및 역사·문화자원을 감상·공유하는 2024 한강역사탐방이 4월 15일(화)~ 11월 30일(토)까지 주간 16개 코스, 야간 2개 코스, 총 18개 코스로 운영됩니다.

 

목차
1. 2024 한강역사탐방 소개
2. 2024 한강역사탐방 프로그램 코스 소개 및 예약사이트 바로가기

 

1. 2024 한강역사탐방 소개

 

 

한강역사탐방' 프로그램은 한강 경관 및 역사·문화자원을 감상·공유하는 매력적인 관광해설과 교육을 제공하여 시민 및 관광객에게 한강변을 체험·감상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또한 체험활동 등 시민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일상 속에서 즐기는 한강 역사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탐방객은 정해진 코스를 따라 한강 유역 및 인근 문화유산을 거닐며 한강해설사의 해설을 듣는다. 한강역사탐방은 주간 16개 코스, 야간 2개 코스, 총 18개 코스로 운영되며, 탐방객은 해당 코스를 거닐며 해당 코스와 관련된 한강의 역사를 탐방할 수 있습니다.

 

 

 

📅 축제 기간: 2024년 4월 15일(화)~ 11월 30일(토)

 

💰 참 가 비 : 무료

 

☎ 문 의 :02 - 761 - 2578

 

2. 2024 한강역사탐방 프로그램 코스 소개 및 예약사이트 바로가기

 

2-1)1코스(광나루길)

경강의 시작․전쟁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하남위례성 – 도미부인 동상- 광진교 8번가이다.

반응형

광나루길 예약바로가기👆

2-2) 2코스(송파나루길)
도시의 형성․발전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삼전도비 – 석촌호수 – 송파나루비 - 석촌동 고분군이다.

728x90

송파나루길 예약바로가기👆

 

2-3) 3코스(뚝섬나루길)
조선건국과 목재집결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전관원 – 마조단 – 살곶이다리 – 뚝섬 기동차길이다.

뚝섬나루길 예약바로가기👆

 

2-4) 4코스(노들나루길)
선비의 충효사상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효사정 – 학도의용군 현충비 - 용양봉 저정 – 사육신 공원이다.

노들나루길 예약바로가기👆

 

2-5) 5코스(동작진길)
명당 동작진의 역사를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동작나루표석 – 국립현충원이다.

동작진길 예약바로가기👆

 

2-6) 6코스(여의나루길)
한강의 기적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국회의사당 – 여의도한강공원 - 밤섬 - 전통의 숲이다.

여의나루길 예약바로가기👆

 

2-7) 7코스 (서강나루길)
세곡과 어류의 운반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광흥창 - 공민왕사당 – 서강나루표석 – 밤섬이다.

서강나루길 예약바로가기👆

 

2-8) 8코스(양화나루길)
외국문화의 유입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외국인 선교사 묘원 - 양화진터 – 절두산 순교성지

이다.

양화나루길 예약바로가기👆

 

2-9) 9코스(선유도/봉길)
한강 개발과 환경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선유도 유래비 – 선유도공원 – 전망데크이다.

선유도길 예약바로가기👆

선유봉길 예약바로가기👆

 

 

2-10) 10코스(공암나루길)
한강 설화와 허준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공암나루 – 광주바위 – 허가바위 – 허준박물관(유료 입장)이다.

공암나루길 예약바로가기👆

 

2-11) 11코스(겸재정선길)
겸재의 한강그림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양천향교 – 소악루 - 겸재정선미술관(유료 입장)이다.

겸재정선길 예약바로가기👆

 

2-12) 12코스(난지꽃섬길)
난지도의 어제와 오늘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월드컵경기장 – 난지한강공원 – 문화비축기지이다.

난지꽃섬길 예약바로가기👆

 

 

2-13) 13코스(한강 백년다리길)
경의선 철길과 한강 근대사를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용산역사박물관 -새남터 성당 – 한강대교 - 노들섬이다.

한강 백년다리길 예약바로가기👆

 

2-14) 14코스(고산자길)
한강과 김정호의 지도를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중랑천 – 응봉산- 무쇠막터 - 달맞이봉 - 저자도 - 옥수역 3번 출구이다.

고산자길 예약바로가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