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북 부안 지진 발생 원인과 여진 가능성, 지진 발생 실시간 화면

by 소소한정보전달자 2024. 6. 12.
728x90

목차

1. 지진발생원인

2. 지진발생 강도 및 피해정도

3. 여진가능성

4. 역대 지진발생일과 지역

1. 지진발생원인 - 실시간 화면

최진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재해연구본부장의 말에 따르면 이번 지진의 원인은 " 초동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함열 단층이나 유사한 방향으로 발달한 다른 단층에서 지진이 비롯됐을 가능성이 보인다"라고 말을 전했습니다.

추가적으로 이번 지진 발생지역인 전북 부안이 경우 그동안 단층 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곳으로 현재로선 정보가 파악된 단층이 없다라고 기상청을 관계자는 말했습니다.

반응형

"서쪽 내륙 4∼5 규모 지진은 역대 두 번째...주향이동단층으로 파악"

■ 진행 : 박석원 앵커, 엄지민 앵커■ 출연 : 최진혁 지질재해연구본부장*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

www.ytn.co.kr

2. 지진발생 강도 및 피해정도

2-1) 지진발생 강도

2024년 6월 12일 오전 8시 26분 49초 규모 4.8의 지진이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 지역에서 발생했습니다.

기상청 확인 결과 지진이 발생된 정확한 위치는 북위 35.70도, 동경 126.72도 행정구역으론 전북 부안군 행안면 진동리입니다.
특히 이번 지진 발생 깊이는 8㎞인데 이것은 올 들어 우리나라를 비롯해 주변 해역에서 발생된 지진 중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최대진도는 5에 가까웠고 이것은 대부분의 사람이 진동을 느끼고, 그릇, 창문 등이 깨지거나, 고정되지 않은 물건이나 물체가 넘어질 수 있는 강도의 진동입니다.

2-2 ) 피해정도

올해 발생된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였던 이번 지진을 인하여

소방서 신고 77건과 피해 1건, 경찰 신고 42건이 접수되었고, 부안군에서 부속건물 균열 1건 발견되었습니다.

728x90

3. 여진가능성

최진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재해연구본부장의 말에 따르면 "부안 지진, 2∼3일간 여진 이어질 것이며 조금 더 자세한 연구를 위해 진앙 인근에 지진계를 설치, 여진 분포를 조사해 어떤 단층에서 지진이 일어났는지 파악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4. 역대 지진발생일과 지역

2024년 6월 12일 전북에서 발생된 규모는 2023년 5월 15일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 해역에서 규모 4.5 지진이 일어난 히우 1년 만에 규모 4.5가 넘는 지진이 발생되었습니다.

2018년 2월 11일에는 규모 4.6 지진이 경북 포항시 북구 북서쪽 5㎞ 지역에서 일어난 과거 이력이 있습니다.

지진 발생 빈도가 낮고 주로 해안 주변에서 발생되었는데 점차 지진 발생 범위가 육지로 좁혀지고 있는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그간 우리나라는 주변국 일본, 중국, 대만과 달리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로 알려졌는데

최근 10년간 통계자료에 따르면 규모 4.5의 지진의 경우 13개월만이고 최근 10년 이내로 9건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이제 지진으로부터 안전지역에서 벗어난 것이 아니냐는 전문가들의 예측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2016년의 경우에는 그 해 규모 4.5 이상의 지진이 4건 연이어 발생되기도 하였습니다.

지진 발생일과 지역을 정리해보면

2016년 7월 5일 울산 동구 동쪽 52㎞ 해역에서 규모 5.0

2016년 울산 9월 12일 규모 5.1, 5.8 등 지진 2건

2016년 경북일대 9월 19일 규모 4.5

특히 2016년 9월 12일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8.7㎞ 지역 규모 5.8 지진은 기상청 관측 이례 최대 규모의 지진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